메뉴보기
내용보기
홈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English
메뉴
해외기술규제소개
해외기술규제안내
공지사항
관련기관 정보
찾아오시는길
수출애로 신청
신청안내
해외기술규제 통보문정보
통보문 안내
통보문 현황
통보문 검색
미통보문 검색
중국기술규제
한중TBT 종합지원 안내
중국TBT 정보
중국표준분석
한중TBT 대응사례
해외기술규제 종합자료실
국가별 대응사례
기술규제 보고서
기술규제 월간동향
기술규제 세미나 자료
용어사전
교육
무역기술장벽의 어려움, 함께 해결해 나가겠습니다.
글로벌 무역의 새로운 시작!
메뉴의
해외기술규제소개
메뉴의
해외기술규제안내
메뉴의
개요
해외기술규제소개
해외기술규제안내
개요
WTO TBT 협정
FTA TBT 협정
상호인정 개요
공지사항
관련기관 정보
찾아오시는길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일부 기능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용어사전
검색어 찾기
검색어
검색
글자버튼 건너뛰기
전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총
95
개의 용어가 있습니다.
55
심사
/
audit
기록, 사실에 대한 진술 또는 기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규정된 요구사항이 충족하는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체계적이고 독립적인 문서화된 프로세스
54
양자간 약정
/
bilateral arrangement
두 당사자가 서로의 적합성평가결과를 인정(recognition) 또는 수용하는 협정
53
양허한 작성 방안
/
Modalities
DDA 농업, NAMA 협상에서 관세감축율, 감축공식 등 협상의 기초가 되는 세부원칙. Modalities가 확정되면 각 회원국은 modalities 에 따라 국별 이행 계획서를 제출하여 검증을 받게 됨.
52
요구사항
/
requirement
충족되어야 하는 기준을 전달하는 규정
51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
UR Negotiation
1986년 9월 25일 우루과이의 도시 푼타 델 에스테(Punta del Este)에서 개최된 통상장관회의에서 시작되어 1994년 4월 15일 마라케쉬 각료회의에서 종결된 GATT 제8차 다자간 무역협상을 말함. 동 협상은
① 추가적인 세계무역 자유화 및 확대,
② GATT의 역할 강화 및 다자간 무역체계 개선,
③ 국제 경제 환경에 대한 GATT의 대응능력 제고 및
④ 국제적인 경제협력 활동의 활성화 등이 목적이었음.
협상 참가국들은 협상기간동안 무역 제한적 조치에 대한 현상동결(standstill) 및 점진적 철폐(rollback)에 대해 협의함
50
우수 실험실 관리 기준
/
GLP, Good Laboratory Practice
의약품, 화장품 등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실시하는 각종 독성 시험의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해 연구 인력, 실험 시설, 장비, 실험 방법 등 시험의 전 과정에 관련되는 모든 사항을 조직적,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규정
49
위생 및 식물위생조치
/
SPS measures,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위생 및 식물위생 조치를 일반적으로 'SPS조치'라고 하는 데, 이것은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의 영문자를 줄여서 부르는 것임. 'Sanitary'는 위생의 뜻으로 주로 동물검역 및 식품위생을 의미하며 'Phytosanitary'는 식물을 의미하는 접투어 'Phyto-'에서 볼 수 있듯이 식물의 검역에 관한 내용을 말하는 것임. 즉, 동식물의 해충 또는 질병, 식품·음료·사료의 첨가제, 독소, 질병원인체 등에 대해 시행되는 조치를 말함.
48
의약품제조 품질관리기준
/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 등의 제조 및 품질관리기줌. 품질이 보증된 우수의약품 등을 제조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제조소의 구조설비를 비롯하여 원료의 구입에서 부터 보관, 제조, 포장 및 풀하에 이르기까지의 전 공정에 걸친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규정. GMP에는 완제의약품에 적용되는 KGMP 등이 있음.
47
인정
/
accreditation
기구 또는 인원이 특정한 임무를 수행할 능력이 있다고 권한을 가진 기구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절차
46
인정기관
/
accreditation body
인정제도를 수행하고 관리하며 인정을 인가하는 기관
1
2
3
4
5
6
7
8
9
10